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초보가 알아야 할 주식 관련 용어 정리 2

by 다이어리주인 2023. 12. 13.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엔 증권시장, 배당, 주가차트 및 지표 등에 대한 주식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 볼게요.

 


day2

주식 관련 용어



 

   주식 관련 용어 2   

 

[증권 시장] 

코스피(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전체적 주가를 기준시점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지표국내 종합주가지수를 의미한다. 시장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투자 성과 측정, 다른 금융상품과의 수익률 비교 척도, 경제 상황 예측지표로도 이용된다.

종합주가지수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 기준시점의 시가총액) x 100 ​

 

코스닥(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보통 대기업 주식이 거래되는 코스피와 달리 중견, 중소기업의 주식이 거래되는 주식시장이다.

첨단벤처기업 중심 시장인 미국의 나스닥(Nasdaq)시장을 본떠 만든 것으로, 증권거래소 시장과는 다른 별도의 시장이다.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창구를 마련하는 한편 일반투자자에게 새로운 투자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1996년 7월 개설됐다. 코스닥시장은 증권거래소에 비해 규제가 덜한 편이며, 비교적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다. 또 미래에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지만 위험도 높다. 한마디로 '고위험 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시장이라 할 수 있다. ​

 

장외거래(outside dealing)

거래소 이외에서 이루어지는 주식과 채권의 거래로, 장외거래를 하는 장소가 대개 증권회사의 창구여서 점두거래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장주에 대하여 장외거래를 인정하지 않고 비상장주나 상장주의 단주 거래만을 인정하지만 때때로 거래자 간의 의견이 맞지 않을 경우 상장주의 거래도 인정된다. 특히 채권은 일부 전환사채와 국공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장외거래로 이루어진다.

 

 

[자사주 관련] 

자사주 매입(buy-back)

일반적으로 자기 회사 주식가격이 지나치게 낮게 평가됐을 때 적대적 M&A에 대비해 경영권을 보호하고 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업이 자기자금으로 자기 회사 주식을 사들이는 것을 말한다.

상법에서는 원칙적으로 자사주 취득을 금지하고 있으며 주식을 매입한 뒤 소각하는 경우나 회사의 합병, 주주들의 매입 청구가 있는 경우 등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만 허용된다. 그러나 특별법인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은 상장법인에 예외적으로 '경영권 안정'과 '주가안정'을 목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할 수 있는 길을 터놓고 있다. 자사주 매입으로 일단 사들인 주식은 상여금이나 포상용으로 임직원에 주는 것을 제외하고는 6개월 이내에 팔 수 없다. 또한 자사주에 대한 의결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

 

*일일 자사주 매입 가능 수량

하루에 매수할 수 있는 주식수량은 '취득신고주식수의 10%'나 취득 신고서 제출일 전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간의 일평균 거래량의 25%에 해당하는 수량 중 많은 수량 이내로 해야 한다. 그리고 이 경우 하루에 매수할 수 있는 주식수량이 '발행 주식 총수의 1%'를 넘을 수 없다. ​

 

자사주 소각(retirement (cancellation) of shares)

회사가 자사의 주식을 취득하여 이것을 소각하는 것으로, 발행 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통해 주주의 이익을 꾀하는 기법이다.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는 경우 본질적으로 기업의 가치는 불변이지만, 주식 수가 줄어들어 1주당 가치는 높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이 100주의 주식으로 구성되고 미래 이익이 100원으로 예상되는 기업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미래 이익으로 인한 A 기업 1주당 가치 증가는 1원이 되나, 만약 50%의 주식소각으로 50주로 감소되었을 경우 1주당 가치 증가는 2원으로 커지게 된다. ​

 

*자사주 소각의 효과

자사주 소각을 하면 자본항목인 자본금 또는 이익잉여금이 감소되므로 자본총계(자기자본)가 줄어든다. 따라서 소각 후 자기자본수익률(ROE)(당기순이익/자기자본x100%)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주당순이익(EPS)도 증가한다. 특히 자사주 소각은 주가관리 효과가 자사주 매입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주식 수가 줄기 때문에 물량 부담도 없어지고 자사주 펀드처럼 나중에 매물로 나올 염려도 없기 때문이다. ​

 

 

[배당 관련]

배당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영업활동을 해 발생한 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이다.

 

주식배당(stock dividend)

일반적으로 주식의 배당은 현금으로 지급되는데, 이를 신규 발행의 주식으로 대신하는 배당. 주권배당이라고도 한다.

주식배당의 목적은 배당 지급에 소요되는 자금을 유보하여 외부 유출을 막고, 이익배당을 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올리는 데 있다. 또 주식배당에 의하여 회사의 자본금이 증액되므로 자본구성의 시정에도 유효하다. 주주의 입장에서도 주가가 높은 수준에 있을 때는 현금배당보다 유리하다. ​

 

중간배당​(interim dividend)

회사가 결산 후가 아닌 사업연도 중에 하는 배당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배당은 결산기가 끝난 후 주주총회에서 배당률을 정해 결산기말을 기준으로 1년에 한 번 실시하고 있으나 1997년 12월 13일 개정된 증권거래법에 중간배당제가 신설됐다.

결산배당은 주총 결의 사항이지만 중간배당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해지며 현금배당만 가능하다.

중간배당을 받으려면 배당 기준일(6월 30일) 2거래일 전까지 매수해야 한다. 배당금 규모는 7월 이사회를 열어 결정하고 배당금 지급은 이사회 결의일 20일 이내에 이뤄진다. ​

 

우선주(Preferred Stock)

의결권이 없는 대신에 보통주보다 먼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주식을 말한다.

우선주는 기업이 배당을 하거나 기업이 해산할 경우의 잔여재산을 배분 등에서 다른 주식보다 우선적 지위를 가지는 주식이며, 대개의 경우 의결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우선주 발행은 회사 측에서는 기존 주주들의 경영권을 보호하면서도 자금조달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배당금을 규칙적으로 지불받기를 원하는 투자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발행한다. 우선주는 일반적으로 보통주보다 가격이 낮게 형성된다. ​

 

*전환우선주/상환우선주

전환우선주: 3~10년가량 지나면 보통주로 바뀌는 것.

상환우선주: 특정 기간 동안 우선주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가 기간이 만료되면 발행회사에서 이를 되사도록 한 주식. 상환을 전제로 발행되기 때문에 만기가 있다.

 

권리락(ex-rights)

기준일 이후에 결제된 주식을 말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증자신주 등의 배정 권리와 배당 권리가 없어진 것을 지칭한다. ​

 

배당락(ex-dividend)

배당 기준일이 경과하여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거나, 주식배당으로 주식 수가 늘어난 것을 감안해 시가총액을 배당락 전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것을 말한다. ​

 

액면분할(Stock Split​)

납입자본금의 증감 없이 기존 발행 주식을 일정 비율로 분할, 발행 주식의 총수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주가가 너무 올라 시장에서 거래 자체가 잘 이뤄지지 않는 등 유동성이 낮아질 경우 실시한다.

 

 

[주가차트 및 지표 관련] 

주가차트

주가 흐름의 대세 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 중의 하나로 매일매일의 주가 변동을 기록해 놓은 것이다.

차트는 주식시장 판단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수급의 변화뿐만 아니라 시세의 흐름, 과거의 패턴 및 투자심리 등을 담고 있어 미래 주가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차트의 종류에는 매일매일의 종가를 직선으로 연결한 선형차트, 어느 일정 기간(일, 주, 월) 동안 시가, 종가, 고가, 저가를 하나의 봉에 표시한 봉 차트가 대표적이며 점수 차트(P&F), 상관 곡선, 삼선전환도 등도 있다. ​

 

양봉·음봉

봉 차트(캔들차트)에서 종가가 시가보다 높은 것으로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것이 양봉이고, 음봉종가가 시가보다 낮은 것을 의미하며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일봉·주봉·월봉

하루 동안 주가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봉으로 나타낸 것을 일봉이라고 하고, 한 주간 주가를 봉으로 나타낸 것을 주봉, 한 달간의 주가를 봉으로 나타낸 것을 월봉이라고 한다. ​

 

이동평균선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 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매일매일 변하지만 특정 기간을 놓고 보면 일정한 방향성을 지닌다. 이를 수치화한 것이 이동평균선으로 장기(120일), 중기(60일), 단기(5, 20일) 이동평균선이 있다.

식시장에서의 거래액, 매매 대금, 주가 등의 현상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과거의 평균적 수치에서 현상을 포착하여 장래의 예측에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

 

지지선

주식 차트상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중 그 저점과 저점을 연결하여 얻은 선으로, 주가가 어느 정도 이하로 하락하려는 추세를 저지시키는 일련의 낮은 주가 수준을 의미한다. ​

 

저항선

주식 차트상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그 고점을 연결한 선으로, 주가가 어느 정도 이상으로 상승하려는 추세를 저지시키는 일련의 높은 주가 수준을 말한다.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golden cross)

주가나 거래량의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해 올라가는 현상으로, 주가를 기술적으로 분석하여 예측하는 지표의 하나로 강세장으로 전환함을 나타내 주는 신호이다.

데드크로스(dead cross)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단기이동평균선이 중장기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뚫는 현상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데드크로스는 주식시장이 약세로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지금까지 주식 기본 용어부터 관련용어들 까지 쭉 살펴봤는데요. 물론 이 용어들이 다는 아니겠죠? 앞으로 주식을 하면서 만나는 이 외의 용어들은 또 찾아보고 공부하고 해야겠네요. 

저는 또 다른 경제 정보로 찾아올게요:)

 

 

 

 

주식 초보가 알아야 할 주식 관련 용어 정리 1

지난 포스팅에는 주식 기본 용어들을 정리해 봤어요. 이번에는 기본을 넘어 주식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보려고 해요. 주식 기본 용어는 주식을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용어라면. 이

siestaa.tistory.com

 

주식 초보가 알아야 할 주식 기본 용어 정리 1

몇 년 전 주식을 시작하긴 했지만, 중간중간 들여다만 보았던 정말 얕은 지식이었어요. 지금부터는 아주 기초부터 차근차근 기록하면서 공부해보려고 해요.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무작정하는

siestaa.tistory.com

 

주식 초보가 알아야 할 주식 기본 용어 정리 2

day2 주식용어 1편에 이어서 주식 기본용어 정리를 해볼게요! 주식 기본용어 2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 Home Trading System) 개인 투자자가 증권회사에 가거나 전화를 이용하지 않고, 집이나 사무실에

siesta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