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초보가 알아야 할 주식 기본 용어 정리 2

by 다이어리주인 2023. 12. 9.
반응형

 

 1편에 이어서 나머지 주식 기본용어 정리를 해볼게요!

 

 

 

day2

주식 기본 용어


 

 


  

   주식 기본용어 2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 Home Trading System)

개인 투자자가 증권회사에 가거나 전화를 이용하지 않고, 집이나 사무실에서 주식거래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초기에는 시세를 보여주고 주문을 하는 기능밖에 없었지만, 이제는 각종 지표 분석부터 매매시점까지 판단하는 상담까지 하고 있다. 특히 각 종목의 등락에 따른 매매 조건을 입력해 놓으면 자동적으로 매매를 진행하는 시스템 트레이딩 기능이 중점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 (MTS, Mobile Trading System)

개인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투자자의 주식거래 방식
2010년 이전에는 HTS가 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스마트폰의 일반화로 MTS거래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예수금, 증거금

예수금은 주식거래를 위해 계좌에 넣어둔 현금으로 매매가 가능한 금액이며,

증거금은 주식을 사게 되면 매수 금액의 일정 비율을 예수금에서 차감하는 금액으로 주식을 매수 시 최소한으로 있어야 하는 현금을 말한다.

 

미수금

미수금은 유가증권의 위탁 매매 업무와 관련하여 증권회사가 고객으로부터 회수할 금액으로, 투자자가 당장 매수를 할 금액이 없더라도 신용거래처럼 총 투자금액의 일부만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것이고, 나중에 부족한 부분을 넣는 방식이다.

 

선물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선매후물(선매매, 후물건 인수도)의 거래방식이다. 즉,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를 말한다.
 

순환매

증시에서 어떤 종목에 호재가 발생하여 투자자가 몰려 주가가 상승하게 될 경우, 그 종목과 연관성이 있는 종목도 주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매수 인기의 순환' 혹은 '순환매'라고 말한다.

보통 순환매는 일정 기간을 두고 순환하는 경향이 있다. 즉, 약간의 시차를 두고 상승 종목군이 바뀌는 것이다. 따라서 상승세가 유사 종목군을 옮겨 다니면서 확산되므로 순환매 종목을 포착하여 투자할 경우 이득을 볼 수가 있다.

 

 

 

 

턴어라운드(Turn around)

기업 내실이 큰 폭으로 개선되어 주가가 급등,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투자자에게 안겨주는 종목이다. 

턴어라운드는 넓은 의미의 기업회생을 의미한다.

즉, 적자에 허덕이던 부실기업이 조직 개혁과 경영혁신을 통해 급격히 흑자로 돌아서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자전거래(cross trading)

동일한 투자자가 종목, 수량, 상대방, 가격 등을 미리 정해두고 매도·매수 주문을 내는 것으로 증권시장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이다.
주식 자전거래는 다음 세 가지 방식에 의해 이뤄진다.
첫째, 장전 시가 기준 또는 장 종료 후 종가 기준으로 주식을 매매하는 방법이다.
둘째, 일정 가격 범위 안에서 이뤄지는 시간 외 대량매매 방법이다.
셋째, 장중에 장중 호가를 바탕으로 대량매매를 체결하는 방법이다.
주식 자전거래를 하는 이유는 다양한데 그중 매매 당사자 간 지분 교환 목적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면 계열사 간에 특정 지분을 주고받아야 할 경우 자전거래를 하게 되면 안정적으로 주식 지분을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상장회사는 평가이익의 현실화를 목적으로 자전거래를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주식 자전거래는 대량의 주식매매를 안전하고 신속·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반면에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다. 한국거래소(KRX)는 자전거래가 주가조작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정한 제한을 두고 이를 허용하고 있다. 

 

블록딜(block deal)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주식 대량 매매 거래를 체결시켜 주는 제도.

이는 거래소 시장에서 한꺼번에 대량의 주식이 거래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주식시장에서의 주가 급등락을 막기 위한 방안이다. 주로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관 또는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장 시작 전이나 마감 후의 시간 외 매매를 통해 거래한다.

 

마일스톤 징크스(milestone jinx)

주가지수가 특정 분기점 도달을 앞두고 주춤거리는 현상.

즉 주가지수가 큰 단위로 바뀌기 직전에 투자자들이 두려움에 차익실현을 하면서 지수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마일스톤은 '이정표, 중요한 단계, 획기적인 사건'이라는 의미로 증권시장에서는 1500, 2000, 2500 등과 같이 특정한 분기점을 지칭한다.

 

 

 

 

스캘핑(scalping)

주식이나 선물시장에서 하루에도 수십 번, 수백 번 이상 분·초 단위로 거래를 하며 단기 차익을 얻는 박리다매형 초단타 매매 기법이다.

‘스캘핑’이란 원래 ‘가죽 벗기기’라는 뜻인데, 북미 인디언들이 적의 시체에서 머리 가죽을 벗겨내 전리품으로 챙겼던 행위에서 비롯된 말이다.

스캘핑은 주로 거래량이 많고 가격 변화가 빠른 주식 시장에서 행해진다. 사람의 머리 가죽이 피부 중 가장 얇은 피부층으로 이루어진 곳이어서 아주 적은 이윤을 챙긴다는 의미에서 스캘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스캘핑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은 스캘퍼(scalper)라고 한다.

데이 트레이딩(day trading)

매수한 주식을 당일 매도하는 초단타 매매기법으로 당일매매라고도 한다.

소수종목을 대상으로 초단기기 매매를 통해 수익을 노리기 때문에 기업의 내용에는 별 관심이 없고 오로지 주가의 움직임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는 점이 특징.

장중 시세 흐름을 계속 주시하다 주가 움직임이 빠른 주식을 포착, 매입한 뒤 단기 차익을 챙기고 빠져나오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에 보통 인터넷 거래 시스템을 사용한다.

데이트레이딩 기법을 구사하는 사람을 데이트레이더(day trader)라고 한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와 이게 다 주식 기본 용어라니.

블록딜, 스캘핑, 데이트레이딩 등 많이 들어봤던 용어들이긴 한데 확실히 이해하지 못했던 용어들이 대부분이네요.

아무래도 뉴스도 많이 보고 경험하면서  많이 접해봐야겠죠? 자주자주 보고 또 곱씹으면서 머릿속에 차곡차곡 저장해야겠어요.

 

다음에는 주식 분류, 주가, 증권시장 등 주식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보려고 해요.

 

 

 

주식 초보가 알아야 할 주식 기본 용어 정리 1

몇 년 전 주식을 시작하긴 했지만, 중간중간 들여다만 보았던 정말 얕은 지식이었어요. 지금부터는 아주 기초부터 차근차근 기록하면서 공부해보려고 해요.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무작정하는

siestaa.tistory.com

반응형